The leader in automatic and intelligent observability

 

1. 다이나트레이스는 어떤 회사일까?

 

다이나트레이스라는 회사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저는 들어본 지는 꽤 되었지만 클라우드 관련주라고만 알고 있었지 무슨 회사인지는 몰랐습니다.

간만에 관심종목을 둘러보다가 발견하여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다이나트레이스 홈페이지에 있는 사진인데 회사가 하는 일을 잘 설명해주는 것 같아서 가져왔습니다.

관찰가능성, 클라우드, 인공지능, 자동화, 보안, 디지털경험, 비즈니스분석 등을 AI기반의 플랫폼에서 한번에 할 수 있게하는 것입니다.

 

홈페이지에 있는 an all-in-one platform 이라는 말이 한 문장으로 설명하는 말입니다.

 

제가 IT분야에서 일한다면 더 쉽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을텐데 아쉽습니다.

 

2. 돈은 잘 벌고 있을까?

 

 

18년도 당기순이익률은 2.3% 영업이익률은 -4.2%

19년도 당기순이익률은 -27% 영업이익률은 -16.5%

20년도 당기순이익률은 -76.6% 영업이익률은 -31.3%

21년도 당기순이익률은 10.7% 영업이익률은 13%

 

연구개발비는 증가세고 작년까지 적자를 유지하다가 올해 들어 흑자전환을 하게 되었습니다.

 

 

작년을 빼고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 창출이 계속 늘고 있습니다.

부채상환에도 많이 신경쓰는 것으로 보입니다.

 

3. 최근뉴스

 

https://m.etnews.com/20210817000046

 

다이나트레이스, 인텔리전트 옵저버빌리티 제공

다이나트레이스가 기업 전산자원을 모니터링하는 수준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사고 징후를 사전 감지하고 대비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옵저버빌리티를 제공하고 나섰다. 다이나트레이스 한국지

www.etnews.com

 

다이나트레이스, 인텔리전트 옵저버빌리티 제공

 

다이나트레이스가 기업 전산자원을 모니터링하는 수준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사고 징후를 사전 감지하고 대비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옵저버빌리티'를 제공하고 나섰다. 다이나트레이스 한국지사 다이나트레이스코리아(지사장 이효은)는 인공지능(AI)과 자동화를 핵심기능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옵저버빌리티 플랫폼을 국내외 기업에 제공한다고 17일 밝혔다.

 

4. 내 생각은?

 

상장이후에 등락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우상향입니다.

지금 또 하락하고 있으니까 기회라고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는 사업은 당연히 비전이 있으니까요.

 

클라우드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는 소프트웨어 인텔리전스를 제공합니다.

 

(제 글은 참고만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도 배워나가는 입장입니다.)


말보로피세요 매출 올라가게(?)

1. 알트리아(Altria)는 어떤 회사일까?

 

많이 알고 있는 담배회사인 필립모리스의 모회사입니다.

핍립모리스는 미국 내 담배 판매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말보로와 팔리아멘트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Black & Mild 라는 파이프형 시가에 생산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부터 인기를 끌었던 전자담배인 쥴(JUUL)과 아이코스(IQOS)도 알트리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담배에 대한 인식이 나빠짐에 따라 대체 산업으로 주류 산업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ste michelle라는 와인회사와 AB InBev 맥주회사에도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cronos라는 대마회사에도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 수혜주라고 할 수 있는 대마에도 투자하고 있는 건 플러스 요인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돈은 잘 벌고 있을까?

역시 필수(?) 소비재라고 할 수 있는 담배를 파는 회사라 코로나에 상관없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7년도 당기순이익률은 52.4% 영업이익률은 49.2%

18년도 당기순이익률은 35.4% 영업이익률은 48.4%

19년도 당기순이익률은 -6.6% 영업이익률은 53.0%

20년도 당기순이익률은 21.4% 영업이익률은 52.2%

 

영업이익률은 꾸준히 약 50% 를 유지하고 있는데 당기순이익률이 왔다갔다 합니다.

19년 20년도에 write off 라고 쓰여져 있는 부분이 있는데 정확한 회계용어는 모르지만, 받을 수 없는 돈이라고 하는군요.

저 부분이 생기면서 19년도는 마이너스 당기순이익률, 20년도는 20%대의 당기순이익률을 보였습니다.

 

당좌비율은 57%로 산업 평균보다는 조금 수치가 적습니다.

총부채비율은 1038%로 산업평균의 3배 정도로 굉장히 높습니다.

아무리 담배산업이 현금창출능력이 좋다고 하지만 현금보유비율이나 부채비율로 봤을 때는 조금 부담스러운 면이 있어보입니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은 꾸준히 벌어 들이고 있습니다.

사업에 필요한 투자활동을 계속 하고있고, 빚도 갚고 있는 걸로 보이고 배당도 꾸준히 주고 있군요.

 

알트리아의 가장 매력적인 부분인 배당입니다.

1, 4, 7, 10 월에 배당을 지급하고 있고 많게는 9% 최근에는 6% 대의 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3. 그래서?

 

재무부문에서 조금 걸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리고 흡연율의 급격한 감소로 매출에 대한 부담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바이든 정부 수혜주인 대마에 손을 대고 있다는 점, 주류쪽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점, 궐련형 담배의 대체인 전자담배에 투자하고 있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담배의 중독성으로 인한 꾸준한 흡연인구에 대한 점 등은 좋게 볼 수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6% 대의 높은 배당률 등으로 배당투자 쪽으로 포폴을 잡으면 충분히 넣을 만한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일단 1주 정도 샀습니다만,,)

죄악주라고 불리는 알트리아에 대해 한번 알아봤습니다.

 

(제 글은 참고만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도 배워나가는 입장입니다.)

아 배고프네

1. Restaurant Brands International Inc:QSR 은 어떤 회사일까?

 

버거킹, 팀 호턴스, 파파이스

위 세개의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회사입니다.

 

버거킹은 한국에도 있어서 많이 아신다고 생각이 듭니다. 세계적으로 17,800 개 이상의 매장이 있다는군요. (맥도날드는 39,000개 가량)

팀 호턴스(팀 홀튼, TIM HORTONS)는 북미 지역, 특히 캐나다에 800개 정도 매장을 두고 있는 커피 전문점이라고 합니다.

(비교대상이 잘못 된 것 같긴하지만 스타벅스는 23,187개 매장입니다.)

파파이스는 얼마전에 한국에서 철수를 했죠. 그래도 3,100개 가량의 매장이 세계에 있다고 하네요.

 

2. 돈은 잘 벌고 있을까?

17~19년 까지는 매출도 영업이익도 상승세였습니다.

20년도는 역시 코로나 때문인지 매출이 줄어들었군요.

 

17년도 당기순이익률은 13.6% 영업이익률은 41.4%

18년도 당기순이익률은 11.4% 영업이익률은 36.5%

19년도 당기순이익률은 11.4% 영업이익률은 36.1%

20년도 당기순이익률은 9.7% 영업이익률은 31.8%

 

매출액은 오르는데 비율은 떨이지는 걸로 봐서 운영비용이나 판관비가 늘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당좌비율은 135.4%로 재무상태는 양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591.7%로 보편적으로 보면 다소 높다고 볼 수 있는데 현금창출이 빠르게 이뤄지는 업종이기 때문에 이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산업평균 790%)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은 꾸준히 벌어 들이고 있습니다.

사업에 필요한 투자활동을 계속 하고있고, 빚도 갚고 있는 걸로 보이고 배당도 꾸준히 주고 있군요.

 

배당액을 꾸준히 늘려주고 있고 3% 중반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3. 여담

 

유튜브

유튜브에 버거킹을 검색해봤습니다.

몇 개월 전에 나온 스태커4 먹방 영상이 쭉쭉 나오더군요.

저도 먹어봤는데요 특이하긴 했습니다.

 

맥도날드를 검색했을 때는 특정 메뉴에 대한 영상은 생각보다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 점에 있어서 버거킹이 괜찮은 마케팅을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4. 그래서?

 

코로나로 잠시 주춤했습니다.

와퍼의 충성고객들이 있습니다.

매출은 나쁘지 않습니다.

재무도 나쁘지 않습니다.

배당 3%대로 나쁘지 않습니다.

하지만 버거킹이 맥도날드를 이길 수 있을까?

의문이 들긴 합니다.

그래도 코카콜라처럼 꾸준히 배당받을 수 있는 소비재섹터의 한 종목으로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제 글은 참고만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도 배워나가는 입장입니다.)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BOTZ)


요약

 

글로벌 X 에서 운영하는 ETF로 산업용 로봇 & 비산업용 로봇, 인공지능, 자동화, 자율주행 관련 기업에 투자합니다. 

 

16년 9월에 개시했고,

규모는 5,610억 달러 수준입니다.

 

꾸준히 상승하다가 최근에는 주춤하는 모습입니다.

 


포트폴리오

 

1. Fanuc Corporation : 일본에 본사를 둔 회사로 산업용 로봇, 공작기계, 자동화 시스템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2. ABB Ltd. : 스위스에 본사를 둔 회사로 에너지, 공정 자동화, 산업용 로봇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3. NVIDIA : 많이 아시다시피 그래픽카드 회사에서 종합 반도체 회사가 된 회사입니다.

4.Intuitive Surgical, Inc. : 의료용 로봇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5. Keyence Corporation : 센서와 측정 시스템을 주로 하는 회사입니다.

 6. Renishaw plc : 측정, 모션 제어, 의료, 분광학를 전문으로 하며, 및 공작 기계 제품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7. Brooks Automation, Inc. :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로봇이나 자동화 설비와 바이오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백신 개발과 접종으로 경기가 회복되면 제조업체들의 제조 설비 투자가 확대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에 관련한 자동화 설비나 산업용 로봇에 관련한 종목이 수혜를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START

    만능 비서 Siri.
    더 많은 일을, 미리 알아서.

 

음성인식 분야의 리더,

시리에 엔진을 공급하는 업체로 알려져 있는 Nuanc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AIN

 

뉘앙스는 대화형 AI를 기초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업내용은,

 

  • 헬스케어
  • 금융서비스
  • 통신서비스
  • 정부관련

홈페이지에서는 이 정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1. 공통적으로 문서를 직접 타이핑하는 것보다 음성인식 기술로 더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솔루션
  2. 헬스케어 - 진단솔루션은 방사선 전문의 업무의 효율성과 효과를 개선하고, 치료 전반에 걸쳐 더 나은 임상결과를 제공합니다.
  3. 금융 -  최적의 속도, 효율성 및 사용자 경험을 위해 소비자 상호 작용을 향상하고, 보안 및 인증을 제공하는 차세대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4. 통신 - 보안을 강화해서 고객이 사기를 당하거나 정보를 노출하는 일이 없게 하고, 대화형AI(챗봇같은)를 사용하여 비용을 줄입니다.

 

출처 - 야후 파이낸스

 

총수익, 영업 이익 모두 조금씩 줄어들고 있습니다.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연구개발비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출처 - 인베스팅닷컴

 

주가는 하락 및 횡보를 이어오다가 최근 1년 내에 급등이라고 할 정도로 올랐습니다.

 

    END

 

전체적인 흐름이 그다지 좋지는 않지만,

저는 뉘앙스를 꾸준히 매수하고 있습니다.

음성인식 분야가 자동차에도 많이 쓰이기 때문입니다.

전기차열풍이 이어지고 있는 시점에 차량에 필수가 된 음성인식.

그리고 음성인식 솔루션을 만드는 뉘앙스.

앞으로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 2021.01.10 추가 : 차량관련은 세렌스(Cerence:CRNC)로 분사

- 2021.04.13 추가 : 마이크로소프트가 뉘앙스 인수

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1-04-12/microsoft-buys-nuance-for-19-7-billion-in-bet-on-health-care 

+ Recent posts